전도성 & 대전성 타일 (Conductive & Static Dissipative Floor Tile)
ES-1001
ES-1002
ES-1003
ES-1004
ES-1005
ES-1006
구분 | ||
제품명 | ES-전도성 타일 | |
규격 | 크기 : 2mm, 3mm × 600, 610, 590mm 성분 : Homogeneous(균일질) |
|
생산 공법 : 압출 + Press + 스카이빙 | ||
특징 | 무늬가 균일하고 망상구조임 전기저항값이 매우 안정적임 |
압출 펠릿 제조공법으로 칩 형상이 매우 균일하여 전기저항이 안정적임. (그물형 구조로 사방으로 카본라인이 연결) |
수지 함유량 많음 보행이 편하고, 충격에 강함 |
수지함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내충격성이 강함 제품의 꺾임, 깨짐 현상 없음(특히 동절기) |
|
미세한 충진제 사용 표면이 매끈함 |
고급 충진제를 사용함 변색이 적고 충진제의 작은입자로 표면이 매끈함 |
|
전도성수성접착제 사용 | 수성아크릴접착제(카본화이바)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인 전기저항을 유지함(solvent free) | |
이색, 변색 미세 | 고급 원재료 사용으로 색상 변화가 미세함. |
1) 직각도는 당사 실험실에서 측정한 자료임.
시험항목 | 단위 | KS 기준값 | Test 결과 | 비고 | |
ES 전도성 | |||||
전기저항(10V) | 표면 저항(×106Ω) | Ω | 1.0×106이하 | 0.67 | ASTM F150방법으로 측정 대전성타일의 저항치(1.0×109Ω) |
접지 저항(×106Ω) | Ω | 0.43 | |||
전기저항(100V) | 표면 저항(×106Ω) | Ω | 0.36 | ||
접지 저항(×106Ω) | Ω | 0.28 | |||
내 마모성 (CS-17, 1,000회 마모) | ㎎ | - | 117 | 프레스 가공으로 하중에 견딜수 있는 힘이 큼 (내구성, 내마모성 우수) KS M 3802기준 |
|
압입량 | 20℃ | mm | 0.25이상 | 0.45 | |
45℃ | mm | 1.20이하 | 0.60 | ||
잔류압입률 | % | 8.0이하 | 5.7 | ||
직각도 | mm | 0.25이하 | 0.071) | ||
가열에 의한 길이 변화율(길이) | % | 0.25이하 | 0.03 | ||
가열 감량 | % | 0.5이하 | 0.2 |
1) 전도성 저항치 규격은 ASTM 규격에 준해 측정한다.
2) 시공된 바닥의 5곳 이상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저항값을 표기한다.
측정 장비 규격저항 테스트 기기
정격 출력 전압 100V or 10V DC
Short - circuit current는 2.5mA ~ 10mA
전극봉(Electrode)
지름 : 64mm, 무게 : 2.3kg/개, 재질 : steel
고무 패드 : ø64mm, 경도 A durometer 40 ~ 60
알루미늄 포일 : 두께 0.013mm ~ 0.025mm
Test Method | ASTM F-150, DIN51953, ESD 7.1 | |||
측정전압 | 100V | 10V | ||
저항 규격(Ω) | 전도성 (Conductive) |
표면-표면 저항 | 2.5 × 104 ~ 1.0 × 106 | 2.5 × 104 ~ 1.0 × 106 |
접지 저항 | 2.5 × 104이상 | 2.5 × 104이상 | ||
대전성 (Dissipative) |
표면-표면 저항 | 1.0 × 106 ~ 1.0 × 109 | 1.0 × 106 ~ 1.0 × 109 | |
접지 저항 | 1.0 × 106이상 | 1.0 × 106이상 |